오늘은 분실 스마트폰 찾기 기능에 대한 설명입니다. 현재 내 폰이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실내에서 무음인 상태로 분실했을 경우 난감할 수 있는데, 무음 설정에도 원격으로 강제로 벨을 울리는 방법, 핸드폰을 끄지 못하게 하는 방법, 데이터를 초기화시키는 기능까지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크게 두 가지로 나누면 구글 계정에서 하는 방법과 삼성 엘지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 제조사 개정으로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구글에서 제공하는 방법을 간단히 살펴보고 국내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기기 제조사인 삼성에서 제공하는 방법을 살펴봅니다.
1. 구글 계정에서 하는 방법

구글계정에서 하는 방법입니다. 구글검색 초기 페이지이고요 스마트폰 계정과 동일한 구글 계정으로 저처럼 로그인이 된 상태에서 계정 이름 부분을 클릭합니다. 파랗게 되어 있는 구글 계정에서 이 부분을 클릭을 보이는 휴대전화 찾기 이 부분을 클릭합니다 근래 사용했던 스마트폰 리스트가 나오는데요 맨 위에 있는 본인의 모델을 클릭을 하고요 계정 비번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휴대전화 찾기를 위해 각 기능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벨소리 울리기에 경우는 스마트폰의 소리가 무음으로 되어 있다 하더라도 강제로 소리를 올려주는 것이 큰 특징입니다. 집이나 실내에서 무음 인 상태로 스마트폰이 사라졌을 때 요긴하게 활용할 수 있고, 핸드폰을 도난당했을 때도 핸드폰이 근처에 있다고 생각되면 이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핸드폰이 꺼져 있으면 안 됩니다. 해당 기능은 폰이 무음인 상태임에도 벨소리가 강제로 올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왼쪽에 보면현재 어떤 네트워크에 연결이 되어 있고 배터리가 어느 정도까지 스마트폰이 켜져 있는 상태로 버틸 수 있는지를 알려 주게 됩니다. 마찬가지 소리 재생도 이곳에서 가능합니다. 그 아래를 보면 누군가 핸드폰을 가져갔다고 할 때 데이터 유출을 막기 위해서 잠금 설정이나 초기화 설정도 이곳을 통해서 가능합니다.
지금까지 구글 계정으로 스마트폰 찾기와 관련한 몇 가지 기능을 보았습니다. 아이폰과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하는 모든 폰에서 같은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2. 스마트폰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기능(삼성폰)
삼성폰 찾기 사이트 주소는지금 보시는 것처럼 삼성폰 찾기와 같은 검색어를 입력하고, 여기에 나오는 웹사이트 주소를 클릭해서 들어가면 됩니다. 삼성 계정 로그인을 해야 하는데 참고로 삼성 폰을 사용하는 경우 구글계정이 아니라 삼성계정이 필수니 별도로 메모나 기억해두어야 합니다.


로그인 부분을 클릭합니다. 만약에 삼성 계정을 잃어버렸거나 비밀번호가 생각나지 않을 경우에는 계정 찾기나 비밀번호 재설정이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를 지도상에 보여줍니다. 구글서비스에서 보았던 벨소리를 울리기 기능도 보입니다. 동일하게 무음으로 설정이 되어 있어도 소리를 울려 줍니다. 삼성의 폰 찾기에는 이외에도 잠그기, 데이터 삭제, 백업, 통화 메시지 기록 가져오기, 잠금 해제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모두 알면 매우 유익한 기능입니다.

2-1 잠금 기능

잠금기능은 화면잠금, 삼성 패스 잠금, 전원 끄기 잠금 등 총 3가지 잠금 기능을 지원합니다. 화면 잠금은 앞서 보았던 구글계정의 기기 잠그기 기능입니다. 나머지 두 가지는 구글계정에서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특히 전원 끄기 잠금이 중요합니다.
지금까지 배웠던 스마트폰 위치 찾기, 벨소리 울리기를 비롯해 앞으로 배울 여러 기능은 핸드폰이 켜져 있어야만 활용이 가능합니다. 꺼져 있는 경우에는 모두 무의미한데 휴대폰을 습득한 사람이 바로 전원을 끄면 어쩔 수 없겠지만 전원 끄기 잠금이 먼저 설정이 되어 있다면 배터리가 방전될 때까지 전원을 끌 수 없습니다. 이 상태에서 3가지 잠금을 실행하기 위해서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휴대전화 잠금을 위해서 총 3단계에 설정이 필요합니다. 1단계는 휴대폰이 잠겼을 때 그것을 풀기 위한 핀 번호 다시 말해서 비밀번호를 설정을 해야 됩니다. 총 4자에서 8자까지 설정이 가능합니다. 긴급 연락처를 입력하세요라고 되어있는데 선택으로 되어 있습니다. 디바이스가 잠긴 상태에서 당연히 폰 사용을 불가능합니다.
2-2 데이터 삭제 기능
데이터 삭제 기능은 휴대 전화의 모든 데이터를 삭제하는 기능인데, 모든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삭제되며 휴대전화 데이터를 삭제하면 휴대전화가 초기화되어 더 이상 이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 기능은 더 이상 휴대전화를 찾을 수 없다고 판단이 되는 경우나 또는 너무나도 중요한 데이터 또는 사진이나 동영상과 같은 사적인 데이터가 있는 경우 해당 데이터의 유출을 막기 위해서 이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3 백업기능

백업기능에서는 백업할 데이터를 보면 주요 데이터를 백업하게 되어 있습니다. 백업을 하게 되면 지금 시점으로 휴대폰 백업데이터가 삼성 클라우드로 백업이 됩니다. 통화기록, 메시지, 연락처, 화면설정, 홈화면, 기존 애플리케이션 등이 백업이 됩니다. 앞서 데이터 삭제 기능을 배웠는데 데이터 삭제 기능을 수행하기 전에 이 기능을 먼저 수행한다면 다시 폰을 찾았을 때 중요 데이터를 원래대로 복원할 수 있습니다. 폰을 분실했다 하더라도 다시 삼성 폰을 구입한 경우에는 복원을 통해 백업데이터를 이전 폰과 동일하게 가져올 수 있습니다.
2-4 통화 메시지 기록 가져오기
통화 메시지 기록 가져오기는 최근에 통화 또는 메시지를 주고받은 연락처 기록을 최대 50개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과 같이 모든 내용을 보았습니다. 만약에 실제 따라해 봤는데 배운 원격 제어가 안될 때는 스마트폰에서 다음 설정 내용을 확인하기 바랍니다. 알림 창에서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부분을 터치하고, 잠금화면 및 보안이 부분을 터치합니다. 이 상태에서 밑으로 쭉 내리면 내 디바이스 찾기라고 있는데요 이 부분에 터치를 한 후, 원격 제어를 비롯해서 이 부분이 설정을 되어 있는가를 확인하기 바랍니다
내 삼성폰을 분실 했을 경우, 옆에 삼성폰 쓰는 친구가 있으면 잠깐 폰을 빌려서 지금과 같이 설정에 들어오면 이 부분에서 내 디바이스 찾기 웹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곳을 터치해서 내 삼성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 바로 벨소리 울리기나 앞서 배운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벨소리는 지금과 같이 꺼져 있어도 강제로 소리를 나게 했는데 gps의 경우 꺼져있는 상태에서 폰의 위치를 찾는데 문제가 없는지 의문이 듭니다. gps가 꺼져 있을 경우 구글 계정에서는 위치 찾기가 불가능하지만 삼성 계정에서는 앞서 본 원격 제어가 설정되어 있다면 설사 gps 가 꺼져 있더라도 위치 찾기를 하는 순간 gps를 원격으로 활성화시킵니다.
이상으로 분실 핸드폰 찾기 기능을 설명드렸습니다.
'50대 이상을 위한 스마트폰 활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갤러리 사진 후보정 기능 익히기 (1) | 2023.04.18 |
---|---|
갤럭시 카메라 설정 알고나면 참 쉽습니다. (0) | 2023.04.16 |
50대 이상 중장년층에게 유용한 갤럭시 스마트폰 카메라기능 6가지 (0) | 2023.04.11 |
50대이상 중장년층이 알아두면 좋을 유투브 기능 8가지 (0) | 2023.04.09 |
카카오톡 유용한 5가지 필수기능을 알아봅시다 (0) | 2023.04.08 |
댓글